network 34

[network]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05-1 추가: DNS 레코드 타입

네임 서버는 DNS 자원 레코드(DNS resource record)를 저장한다.이름(호스트 이름, Record Name)값 (Value)TTL레코드 유형(타입, Record Type) 등해당 IP 주소(1.2.3.4)로 접속 가능한 도메인 네임을 구입한 후 도메인 네임과 IP 주소의 대응 관계를 네임 서버에 알려야 한다. 이를 위해 만들어야 하는 정보가 DNS 자원 레코드다. 도메인 이름과 값의 쌍이 어떤 유형의 데이터인지는 타입으로 확인할 수 있다. DNS 레코드 예제1.2.3.4에 대한 별칭으로 example.com 등록example.com에 대한 별칭으로 www.example.com 등록www.example.com에 질의하면 1.2.3.4 응답타입이름값TTLAexample.com1.2.3...

network 2025.01.13

[network]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05-1 DNS와 자원

네트워크 상에서 호스트를 식별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인 호스트 네임호스트 네임을 관리할 수 있는 체계: DNS자원이란 무엇인지, 네트워크 상에서 자원을 어떻게 식별할 수 있는지메시지를 주고 받기 위해서는 두 가지가 필요하다.메시지를 주고받는 송수신지 파악 - IP 주소, 도메인 네임송수신하고자 하는 정보 파악 - 자원자원을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 대표적으로 활용되는 자원 식별 방법에는 URL이 있다. ① 송수신지 파악통신하고자 하는 모든 호스트의 IP 주소를 기억하기 어렵다. (ex. 전화번호부)IP 주소도 언제든지 바뀔 수도 있다. (동적 IP)그래서 상대 호스트를 특정할 때 도메인 네임을 사용할 수 있다. (ex.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사용자 이름)도메인 네임은 네임 서..

network 2025.01.08

[network]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4-3 ECN: 명시적 혼잡 알림

ECN(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명시적 혼잡 알림중간 노드의 도움으로 혼잡을 제어TCP의 혼잡 제어 - 오로지 송신 호스트의 몫; 혼잡 감지, 혼잡 윈도우 계산, 재전송그에 반해 ECN은 혼잡을 회피하기 위해 네트워크 중간 장치(주로 라우터)의 도움을 받는다오늘날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됨 왼쪽은 IPv4 헤더, 오른쪽은 TCP 헤더의 모습이다. 여기서 왼쪽 헤더의 서비스 유형에 있는 두 개의 ECN 비트가 '11'로 설정된 채 수신지 호스트로 전달되면 수신지 쪽에서는 중간에서 라우터가 혼잡을 감지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 후 수신지 쪽에서 다시 송신지 쪽으로 TCP 세그먼트의 ECE(ECN-Echo) 플래그에 1을 세팅하여 보낸다. 이것은 수신..

network 2025.01.06

[network]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04-3 TCP의 오류, 흐름, 혼잡 제어

전송 계층의 TCP 프로토콜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TCP의 기능재전송을 기반으로 다양한 오류를 제어흐름 제어를 통해 처리할 수 있을 만큼의 데이터 송수신혼잡 제어를 통해 네트워크가 혼잡한 정도에 따라 전송량 조① 오류 제어'전송 계층의 TCP, UDP 세그먼트에는 체크섬 필드가 있는데 이것만으로 충분하지 않을까?' 라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로 답할 수 있다. 체크섬 필드는 데이터가 훼손되었는지의 여부만 나타내기 때문이다. 패킷이 유실되었거나, 또는 잘못 전송되었거나, 순서에 어긋나게 전송되는 것은 체크섬 필드만으로 오류를 검출하기 어렵다. 그러면 TCP는 언제 오류가 난 것을 알아채고 재전송할까?중복된 ACK 세그먼트를 수신했을 때타임아웃이 발생했을 때 (이게 더 나쁘다) 이렇게 오류가 검출되면 T..

network 2025.01.06

[network]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04-2 TCP와 UDP

강의는 몇 번 들었지만 전처럼 기록을 열심히 해 두지는 않아서 몇 개월이 지난 후에 다시 쓴다. (250414) TCP 통신 단계TCP는 통신(데이터 송수신)하기 전에 연결을 수립하고 통신이 끝나면 연결을 종료한다MSS (Maximum Segment Size) 단위MSS - TCP로 전송할 수 있는 최대 페이로드 크기TCP 헤더 크기는 제외 (MTU는 헤더의 크기까지 포함)TCP 세그먼트 구조송신지 포트, 수신지 포트순서 번호확인 응답 번호제어 비트 - ACK, SYN, FIN윈도우① 송신지 포트, 수신지 포트송수신하는 포트 번호② 순서 번호 (sequence number)순서 번호가 명시되는 필드순서 번호 = 초기 순서 번호 + 송신한 바이트 수송수신되는 세그먼트 데이터의 첫 바이트에 부여되는 번호세그..

network 2025.01.06

[network]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04-1 추가 2: ICMP (241201)

IP의 전송 특성을 보완하는 ICMP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로서, 네트워크 내 장치가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문제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https://www.fortinet.com/kr/resources/cyberglossary/internet-control-message-protocol-icmp)IP 패킷 전송 과정에 대한 피드백 메시지 제공피드백 메시지- 1. 전송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 상황에 대한 오류 보고- 2. 네트워크에 대한 진단 정보 (네트워크 상의 정보 제공)다음 슬라이드는 1번 유형에 속하는, 문제 상황에 대한 오류를 보고하는 메시지 유형이다. 화면에는 자주 확인할 수 있는 오류 메..

network 2024.12.01

[network]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04-1 추가: 포트 포워딩 (241129)

앞선 전송 계층 게시글에서 공인 IP 주소의 낭비를 막기 위해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여러 개의 사설 IP 주소가 공유할 수 있다고 했다. 그것이 포트 기반 NAT로서 오늘날 대부분의 NAT가 이 방식을 채택한다. 네트워크 외부에서 내부의 프로세스에게 패킷을 전송해야 한다면 목적지 IP 주소와 목적지 포트 번호에는 무엇을 넘겨야 할까? 이것을 외부 호스트에게 알려주는 기술이 포트 포워딩이라고 한다. 네트워크 내부의 호스트에게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할당하고 이 '해당 IP 주소:포트 번호' 쌍을 외부의 호스트에게 전달해 주면 패킷이 자동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한다. 공유기 설정 화면에서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IP 주소:포트 번호' 쌍이 대응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network 2024.11.29

[network]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04-1 전송 계층 개요: IP의 한계와 포트(241017)

방학 때 네트워크 강의를 쭉 들었었는데 그 후로 시간이 꽤 지났다.(네트워크 지식도 옅어졌다) 강의만 듣고 따라가기에는 놓치는 내용들이 있을 수 있어서 책으로도 공부해 보려고 했으나 진도가 안 나갔다. 그래서 강의 업로드 일정에 맞추어 공부를 미루게 되었고.. 드디어 강의가 어제 업데이트되어서 지금 이렇게 글을 쓴다. 핳.. 그래도 올라오는 모든 강의들에 대해서는 꼭꼭 글로 정리할 것이다! 서론이 길었고 이제 오늘의 주제를 살펴보자🏃‍♂️🏃‍♀️전송 계층네트워크 계층과 응용 계층 사이에 위치하는 계층대표적인 기능: IP 한계 보완, 응용 계층의 프로세스 식별- IP 한계 보완: 신뢰할 수 있는 통신과 연결형 통신 기능 제공- 응용 계층의 프로세스 식별: 포트 번호 활용cf. TCP/IP 모델 확장: ..

network 2024.10.17

[network]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03-3 라우팅의 분류와 라우팅 프로토콜 (240815)

라우팅: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수행할 때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는 과정다음의 내용에 집중하여 공부해 볼 것!라우팅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네트워크 간의 통신이 어떤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는지 -- 이 글에서 다룰 내용정적 라우팅과 동적 라우팅- 정적 라우팅과 동적 라우팅은 IP 주소를 할당하는 방법과 유사함- 즉, 정적 IP 주소와 동적 IP 주소 할당방법과 유사- 정적 IP 주소는 호스트가 직접 부여, 동적 IP 주소는 DHCP 프로토콜을 통해 자동으로 부여정적 라우팅 - 수동으로 구성된 라우팅 테이블 항목을 통해 수행되는 라우팅동적 라우팅 - 자동으로 라우팅 테이블 항목을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라우팅, 라우팅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자동으로 테이블 만듦① 정적 라우팅 (static routing)사용자가 수..

network 2024.08.15

[network]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03-3 라우팅 테이블 (240814)

라우팅: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수행할 때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는 과정다음의 내용에 집중하여 공부해 볼 것!라우팅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 이 글에서 다룰 내용네트워크 간의 통신이 어떤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는지데이터 링크 계층의 한계-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만으로 LAN을 넘어서 통신하기 어려운 두 가지 이유다른 네트워크까지의 도달 경로를 파악하기 어려움 (∵ 네트워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의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모든 네트워크에 속한 모든 호스트의 위치를 특정하기 어려움대표적인 네트워크 계층의 장비: 라우터(router)라우터(router) - 라우팅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장비라우팅(routing) - 패킷이 이동할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는 것네트워크 간 통신을 가능케 하는 네트워크 계층의 장비- ..

network 2024.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