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임 서버는 DNS 자원 레코드(DNS resource record)를 저장한다.
- 이름(호스트 이름, Record Name)
- 값 (Value)
- TTL
- 레코드 유형(타입, Record Type) 등
https://blog.bytebytego.com/p/a-crash-course-in-dns-domain-name
해당 IP 주소(1.2.3.4)로 접속 가능한 도메인 네임을 구입한 후 도메인 네임과 IP 주소의 대응 관계를 네임 서버에 알려야 한다. 이를 위해 만들어야 하는 정보가 DNS 자원 레코드다.
도메인 이름과 값의 쌍이 어떤 유형의 데이터인지는 타입으로 확인할 수 있다.
DNS 레코드 예제
- 1.2.3.4에 대한 별칭으로 example.com 등록
- example.com에 대한 별칭으로 www.example.com 등록
- www.example.com에 질의하면 1.2.3.4 응답
타입 | 이름 | 값 | TTL |
A | example.com | 1.2.3.4 | 300 |
CNAME | www.example.com | example.com | 300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05-1 DNS와 자원 (0) | 2025.01.08 |
---|---|
[network]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4-3 ECN: 명시적 혼잡 알림 (0) | 2025.01.06 |
[network]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04-3 TCP의 오류, 흐름, 혼잡 제어 (0) | 2025.01.06 |
[network]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04-2 TCP와 UDP (0) | 2025.01.06 |
[network]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04-1 추가 2: ICMP (241201) (0) | 2024.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