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32

[network]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02-1 이더넷 프레임 (240710)

지난 글에 이어서... 1. 물리 계층 관련 이더넷 기술 (통신 매체, 케이블) 2. 데이터 링크 계층 관련 이더넷 기술 (이더넷 프레임 형식) -- 현재 글에서 다룰 내용 이더넷 프레임(데이터 링크 계층) 이더넷 네트워크에서 주고받는 프레임캡슐화를 거쳐 송신됨: 상위 계층 정보 + 헤더 + 트레일러- 헤더 = 프리앰블 + 수신지 MAC 주소 + 송신지 MAC 주소 + 타입/길이- 페이로드 = 실제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 트레일러 = FCS역캡슐화를 거쳐 수신됨 - 헤더, 트레일러 제거 후 상위 계층으로 올려보냄헤더 中 프리앰블(preamble)이더넷 프레임이 지금 오고 있음을 알리는 비트(정보)송수신지 간의 동기화를 위해 사용되는 정보이더넷 프레임의 시작을 알리는 8바이트(64비트) 크기의 정보첫 7..

network 2024.07.10

☠️ [network]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02-1 이더넷과 연결매체 (240709)

이더넷이란 무엇인지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에 이더넷이 어떻게 접목되어 있는지이더넷(Ethernet)현대 LAN, 특히 유선 LAN 환경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기술다양한 통신 매체의 규격, 송수신되는 프레임의 형태, 프레임을 주고받는 방법 등이 정의된 기술-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이 밀접하게 연관된 이유다시 차근차근.."유선 LAN 환경은 대부분 이더넷을 기반으로 구성된다."물리 계층에서는 사용되는 케이블? 이더넷 규격을 따름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주고받는 프레임? 이더넷 프레임의 형식을 따름네트워크 장비들, 통신 매체들은 모두 특정 이더넷 표준을 이해하고 따른다고 보아도 무방그렇기 때문에 학습 내용을 다음과 같이 나눠볼 수 있다.  1. 물리 계층 관련 이더넷 기술 (통신 매체, 케이블..

network 2024.07.09

[network]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02-0 추가 - 개발자와 네트워크 인프라 (240708)

개발자가 네트워크 인프라 지식을 갖추는 게 왜 중요한지, 이 책 혹은 2,3장 지식을 왜 갖춰야 할까 cf. IT 인프라 (IT Infrastructure)애플리케이션을 가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나 OS, 미들웨어, 네트워크 등 시스템의 기반시스템의 주요 기능과 같은 기능적인 요구사항 외에 시스템 성능, 안정성, 확장성, 보안 등과 같은 요구사항즉, 비기능적인 요구사항과 관련되어 있다.https://futurecreator.github.io/2018/11/09/it-infrastructure-basics/ 개발자를 위한 인프라 기초 총정리 | Eric Han's IT Blog최근 클라우드 관련 부서로 옮겨 클라우드 관련 업무를 맡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개발은 했어도 인프라 지식은 많지 않은 상황에서..

network 2024.07.08

[network]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01-3 추가 2: 트래픽과 네트워크 성능 지표 (240707)

트래픽(traffic)네트워크 내의 정보량트래픽은 주로 노드에서 측정: "특정 시점에 노드를 경유하는 정보량"과도한 트래픽이 야기하는 문제: 과부하(성능 저하) 발생 네트워크 성능 지표1. 처리율(throughput)단위 시간당 네트워크를 통해 실제로 전송되는 정보량실시간성이 강조된 지표로서 활용표현 단위 bps, Mbps, Gbps, pps(packets per second)2. 대역폭(bandwidth)컴퓨터 영역에서의 정의: 단위 시간 동안 통신 매체를 통해 송수신할 수 있는 최대 정보량정보를 주고받을 폭통신 매체의 최대 역량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는 것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하드웨어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최대 역량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 범용적으로 사용3. 패킷 손실(packet l..

network 2024.07.07

[network]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01-3 추가 1: OSI 7계층, TCP/IP 4계층은 사실 아무것도 해 주지 않는다 (240706)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네트워크 참조 모델!모든 프로토콜이 모든 모델의 특정 계층에 완벽히 대응되지 않는다네트워크 참조 모델은 지켜야 할 규칙이 아니기 때문참조를 목적으로 하는 밑그림에 불과하다네트워크 참조 모델이나 특정 계층은 네트워크를 작동시키는 주체가 아니다네트워크 참조 모델에 속한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장비가 네트워크를 작동시키는 주체이다실무적인 관점에서 실질적인 네트워크 학습 대상은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장비!ex. 네트워크 장비의 경우 일반적으로 상위 계층에 포함된 장비는 하위 계층의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network 2024.07.06

[network]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01-3 네트워크 미시적으로 살펴보기 - 캡슐화와 역캡슐화 (240705)

캡슐화와 역캡슐화메시지는 송신지 입장에서는 가장 높은 계층에서부터 가장 낮은 계층으로 이동메시지는 수신지 입장에서는 가장 낮은 계층에서부터 가장 높은 계층으로 이동캡슐화: 계층별 프로토콜의 목적과 특징에 부합하는 헤더(+트레일러) 추가상위 계층으로부터 내려받은 패킷을 페이로드로 삼아, 프로토콜에 걸맞은 헤더(및 트레일러)를 덧붙인 후 하위 계층으로 전달한다한 단계 위의 계층의 '헤더+페이로드'는 다음 아래 계층의 페이로드가 된다역캡슐화: 캡슐화 과정에서 붙였던 헤더(및 트레일러)를 각 계층에서 확인한 뒤 제거 PDU (Protocol Data Unit)각 계층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단위현재 계층의 PDU = 상위 계층 데이터 + 현재 계층의 프로토콜 헤더(및 트레일러)네트워크 계층의 PDU는 패킷 혹은..

network 2024.07.05

[network]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01-3 네트워크 미시적으로 살펴보기 - 네트워크 참조 모델 (240704)

택배로 책을 보내는 과정- 영수에게 선물할 책을 택배로 보내는 과정(위에서 아래로)  1. 선물할 책을 준비한다.2. 책이 상하지 않도록 책을 포장한다.3. 포장된 책을 택배 상자에 담는다.4. 택배 상자를 밀봉한다.5. 택배 기사가 확인할 메시지를 택배 상자에 붙인다.6. 택배 상자를 택배 기사에게 전달한다.  - 영수가 택배를 전달받는 과정(아래에서 위로) 1. 택배 상자를 택배 기사로부터 전달받는다.2. 택배 기사가 확인한 메시지를 제거한다.3. 택배 상자를 개봉한다.4. 택배 상자에서 포장된 책을 꺼낸다.5. 포장 용지를 제거한다.6. 선물 받은 책을 확인한다. 네트워크에서 패킷을 주고받는 과정은정형화된 여러 단계가 있다.송수신이 반대의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이 단계는 계층적으로 표현 가능하다...

network 2024.07.04

[network]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01-3 네트워크 미시적으로 살펴보기 - 프로토콜 (240703)

미시적으로 살펴보는 네트워크두 대의 컴퓨터가 정보(패킷)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일프로토콜네트워크 참조 모델캡슐화(역캡슐화)패킷(택배)을 보내는 순서- 멀리 떨어진 영수(수신지 호스트)에게 택배를 보냄(단, 전제는 언어가 서로 통해야 한다!) 1. 택배 상자에 물품(페이로드)을 넣는다.2. 상자 겉면에 택배 기사가 읽을 메시지, 즉 송장(헤더)을 붙인다.3. 택배 상자를 기사(네트워크 장비)를 통해 발송한다. 네트워크 세상의 언어, 프로토콜(protocol)노드 간에 정보를 올바르게 주고받기 위해 합의된 규칙이나 방법즉, 통일된 규칙일상 속 언어와는 달리 통신 과정에서 일반적으로는 여러 프로토콜을 함께 사용 모든 프로토콜에는 목적과 특징이 있다.  IP는 패킷을 수신지까지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

network 2024.07.03

[network]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01-2 주소와 송수신지 유형에 따른 전송 방식 (240702)

헤더에 담기는 대표적인 정보, 주소(address)송수신지를 특정하는 정보ex. IP 주소, MAC 주소주소가 있으면 누구에게 전송할지를 지정할 수 있다. 특정 기기 하나에 전송 or 같은 네트워크 내 모든 기기로 전송 or 같은 그룹에 속한 기기에 전송 ...송수신지 유형별 전송 방식1. 유니캐스트(unicast)하나의 수신지에 메시지를 전송송신지와 수신지가 일대일로 메시지를 주고받는 경우(가장 일반적인 송수신 형태)2. 브로드캐스트(broadcast)네트워크상의 모든 호스트에게 전송브로드캐스트 도메인(broadcast domain) - 브로드캐스트가 전송되는 범위브로드캐스트 도메인 ≒ LAN 범위3. 멀티캐스트(multicast)네트워크 내의 동일 그룹에 속한 호스트에게만 전송4. 애니캐스트(anic..

network 2024.07.02

[network]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01-2 컴퓨터 네트워크 거시적으로 살펴보기 - 네트워크의 분류 (240701)

1. 범위에 따른 네트워크 분류LAN(Local Area Network): 가까운 지역을 연결한 근거리 통신망WAN(Wide Area Network): 원거리LAN한정된 공간에서 한 개인이나 소규모 조직이 구축한 네트워크개발자가 주로 구축하고 관리할 네트워크WAN먼 지역을 연결하는 광역 통신망인터넷이 WAN으로 분류다른 LAN에 속한 호스트와 메시지를 주고받아야 할 때 필요ISP(Internet Service Provider)에서 구축하고 관리사용자에게 인터넷과 같은 WAN에 연결 가능한 회선(전송로)을 임대하는 등 WAN과 관련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국내의 대표적인 ISP는 KT,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ex. 인터넷 요금은 이러한 ISP에게 부담, WAN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 이용료그 외 네트워..

network 2024.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