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티티를 설계할 때 명확한 본질식별자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능적으로 인조식별자를 PK로 사용해 왔다. 인조식별자를 정의하는 경우는 이론적으로 알고 있었지만 식별자가 한개일 때도 불구하고 인조식별자를 택했기 때문에 올바른 설계법이 궁금했다. 그래서 이번에는 인조식별자를 쓰더라도 추가로 보완해야 할 점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1. 식별자 개념원래 존재하는 속성이냐에 따라 본질식별자 / 인조식별자로 구분대표성 여부에 따라 주 식별자 / 대체(보조)식별자로 구분엔티티에 원래 존재하는 속성인 사원번호, 주민등록번호 / 업무처리나 이벤트 성격의 데이터의 경우 회원 ID, 계좌번호처럼 ID나 일련번호 등을 부여하여 식별하는 경우 모두 본질식별자를 활용하는 예시다. 2. 인조식별자를 정의하는 경우엔티티를 통합할 때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