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스풀 주소 체계(Classful Addressing)의 한계
- 클래스별 네트워크 크기가 고정되어 있어 여전히 낭비되는 IP 주소가 많을 수 있다
ex. A 클래스 네트워크 하나 당 할당 가능한 호스트 수: 1600만개 이상
B 클래스 네트워크 하나 당 할당 가능한 호스트 수: 6만개 이상 - 클래스별 네트워크 크기가 고정되어 있어 사전에 정해진 크기 외의 다른 크기 네트워크 구성 불가능
ex. C 클래스 네트워크 하나 당 할당 가능한 호스트 수: 254개
하지만, 직원 300명 컴퓨터, 동일 네트워크로 구성하기 위해 B 클래스 주소를 이용해야 할까?
-- 그냥 네트워크 주소 비트 23비트, 호스트 주소 비트 9비트로 하면 안되나? - 더 정교한 크기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등장한 클래스리스 주소 체계(Classless Addressing)
- 오늘날 주로 활용되는 방식
- 클래스 개념 없이(=Classless) 클래스에 구애받지 않고 네트워크의 영역을 나누고 호스트에게 IP 주소 공간을 할당하는 방식
- 클래스풀 주소 체계보다 더 유동적이고 정교한 네트워크 구획 가능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 클래스 없이 IP 주소의 네트워크 주소,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는 수단
- IP 주소 상에서 네트워크 주소는 1, 호스트 주소는 0으로 표기한 비트열
→ 네트워크 내의 부분적인 네트워크(서브네트워크;subnetwork)를 구분 짓는(마스크;mask) 비트열 - A, B, C 클래스의 기본 서브넷 마스크
- A 클래스: 255.0.0.0(11111111.00000000.00000000.00000000)
- B 클래스: 255.255.0.0(11111111.11111111.00000000.00000000)
- C 클래스: 255.255.255.0(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서브네팅(Subnetting)
-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해 클래스를 원하는 크기로 더 잘게 쪼개어 사용하는 것
- (서브넷 마스크 이용법) 서브넷 마스크로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 짓는 방법
-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를 비트 AND 연산한 결과 = 네트워크 주소
서브넷 마스크 표기: CIDR 표기법
- 10진수로 직접 표기
ex. 255.255.255.0, 255.255.255.252 등 - CIDR 표기법: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notation) - 사이다 표기법
- 'IP 주소/서브넷 마스크 상의 1의 개수' 형식으로 표기
ex. C 클래스의 기본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0, 이를 2진수로 변환하면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 1이 총 24개이므로 /24
예제1. 192.168.0.2/25는 어떤 네트워크에 속한 어떤 호스트를 가리킬까?
강사 님께서 손으로 직접 계산할 필요가 없다고 하셨지만 나는 이미 다 끝낸 후였다...! 🔥
구글에 'subnet calculator'이라고 검색한 후 나오는 사이트에서 원하는 값을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결과를 자동 계산하여 반환해 준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03-2 정적 IP 주소와 동적 IP 주소 (240812) (0) | 2024.08.12 |
---|---|
[network]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03-2 공인 IP 주소와 사설 IP 주소 (240811) (1) | 2024.08.11 |
[network]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03-2 IP 주소의 구조와 클래스풀 주소 체계 (240809) (1) | 2024.08.09 |
[network]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03-1 추가: IP 단편화를 피하는 방법 (240808) (1) | 2024.08.08 |
[network]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03-1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240807) (0) | 2024.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