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도 | 명령어 | 설명 |
폴더 접근 | cd | 점에 따라 접근 위치 달라짐 |
상위 폴더로 이동 | cd .. | 점 두 개 |
현재 위치 | cd . | 점 한 개 |
사용자 홈 디렉토리로 이동 | cd ~ | |
현재 위치한 경로 출력 | pwd | print working directory |
현재 경로의 폴더/파일 확인, 목록 출력 | ls | 뒤에 조건을 무엇을 붙이느냐에 따라 달라짐 |
숨겨진 폴더, 파일까지 목록 출력 | ls -a | 파일/폴더 앞에 .이 붙으면 숨김 처리하겠다는 표시, 따라서 경로 작성 시 주의 |
파일 목록을 더 상세히 출력 | ll, ls -l(long) | ls의 상세 버전, ll(= ls -l)이지만 alias로 지정 안 되었을 수 있음 |
지정한 위치에 해당 문자열을 가진 파일 찾기 | grep '문자열' [파일명] | 대상을 *라도 지정해야 탐색 가능 |
파일 생성 | touch [파일명] | |
파일 내용 출력 | cat [파일명] | |
텍스트 파일 생성 | vim [파일명] | vim 에디터(Vi Improved로 vi의 향상된 버전) - 파일에 접근하면 i(insert), a, o 등 눌러 입력 모드로 전환해야 함 - 작성 후에는 esc 누르고 :wq(저장하고 닫기), :q(닫기), :q!(저장하지 않고 닫기) 등으로 나감 경로를 작성하여 해당 위치에 파일을 생성함 |
파일 열어서 작성 | vi [파일명] | vi 에디터(UNIX 계열의 오픈 소스 문서 편집기, Visual Editor의 약자) |
파일 권한 변경 | chmod [권한] [파일명] | 소유자, 그룹, 타인에 대한 사용 권한을 700, 600 등의 8진수로 표시 |
폴더 생성 | mkdir [폴더명] | |
빈 폴더 삭제 | rmdir [폴더명] | 폴더가 비어있을 때만 동작 |
내용물이 든 폴더 삭제 | rm -r [폴더명] | 내용물까지 함께 삭제 |
폴더/파일 복사 | cp [파일위치] [폴더위치] | |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어 실행 | sudo | superuserdo의 약자, 일반 사용자 계정에서 root 권한으로 명령어 실행 |
문자열 출력 | echo "문자열" | |
URL 통해 데이터 전송 및 다운로드 | curl [URL] | 웹 API 호출, 원격 서버에 데이터 전송, 파일 다운로드 등에 사용 |
원격 서버 접속 | ssh [호스트명] | 호스트명은 IP 주소나 도메인 이름일 수 있음 |
https://velog.io/@qwd101/grep-%EB%AA%85%EB%A0%B9%EC%96%B4-%EC%A0%95%EB%A6%AC
grep 명령어 정리
grep은 리눅스와 UNIX 기반 시스템에서 텍스트 검색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명령어이다. 파일 내에서 특정 문자열 또는 패턴과 일치하는 줄을 찾아 출력해 준다. grep이란 이름은 "global/regular expression
velog.io
http://taewan.kim/post/ssh_config/
ssh config 설정 방법
클라우드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해서 혹은 github에 인증을 받기 위해서 ssh 보안키를 생성하는 절차가 필요합니다.
taewan.kim